☆ 푸시 메시지 퀵 가이드
팔로우개요
그로스액션을 통한 푸시는 목적에 따라 특정 오디언스를 대상으로 메세지를 발송합니다.
적절한 타이밍에 알맞은 푸시 메시지를 보낸다면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유저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푸시 메시지 전략을 세워 원하는 목적을 달성해보세요.
푸시 메시지 전략 수립
푸시 메시지 전략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다음 전략을 통해 올바른 목표와 타겟을 정하고, 원하는 성과를 달성해보세요.
1. 목적 설정
: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목적을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ex. 유저의 앱사용률 증가, 제품 판매 촉진 등)
2. 대상 오디언스 파악
: 푸시 메시지를 받게 될 대상 오디언스를 파악하여, 그룹을 구성하고 각 그룹에 맞는 메시지를 제공해야 합니다.
(ex. 유저의 활동 패턴, 선호도, 위치 정보)
3. 발송 시간
: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적절한 시간을 파악하여 메시지를 보내야 하며, 유저가 특정 화면(페이지)에 머무르는 시간, 구매 시간 등을 통해 파악 가능합니다.
또한, 야간 푸시 메시지 제한 시간(21:00 ~08:00)을 피해 발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메시지 내용
: 푸시 메시지의 내용은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확해야 합니다.
또한, 광고성 메시지의 경우 작성 가이드와 제한 사항 등을 파악한 후 발송하는 것이 좋습니다.
5. A/B 테스트
: 메시지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A/B 테스트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메시지가 더욱 효과적 인지를 파악하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푸시 메시지 전략은 유저들의 반응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유저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이를 토대로 전략을 보완하고 성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초 개인화 푸시 메시지란?
초 개인화 푸시 메시지는 개인의 특징과 행동 패턴, 관심사 등을 고려하여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푸시 메시지를 의미합니다.
즉,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더욱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수집 : 대상 유저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특성과 행동 패턴을 파악
2. 데이터 분석 :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저 선호도 및 관심사 파악 → 맞춤형 메시지 구상
3. 메시지 개인화 : 유저 관심 상품 추천 메시지 or 유저 선호 채널을 통한 메시지 발송
그로스 액션 푸시 메시지 이용을 위한 기본 조건
디파이너리에서는 총 3가지(App, Web, Kakao)의 푸시 메시지를 지원합니다.
Web 푸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푸시 메시지는 그로스 액션 기능을 연동해야 하며,
Web 푸시 메시지의 경우 Web 분석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인용:안내:보통]] 그로스 액션 기능 연동을 위해서는 디파이너리 유료플랜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용 문의하기]
[[인용:안내:보통]] Web 푸시 메시지를 위해서 Web 분석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용 문의하기]
메시지 유형 선택하기(공통)
푸시 메시지는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 내용에 따라 '정보성'과 '광고성'으로 나누어집니다.
'광고성' 메시지 유형 선택 시 '(광고)' 표기 위치 선택이 가능하며, 각 채널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광고)' 문구 위치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용:안내:보통]] 광고성 정보가 시작되는 부분에 '(광고)' 표기가 필요합니다.
💬 정보성 vs 광고성 메시지
- 정보성 메시지란?
- 정보통신망법 안내서에 '영리목적 광고성 정보의 예외'에 해당하는 메시지
1) 수신자와 이전에 체결하였던 거래를 용이하게 하거나, 완성 또는 확인하는 것이 목적인 정보
2) 고객의 요청에 의해 발송하는 1회성 정보 (견적서 등) - 광고성 메시지란?
- 전송자가 경제적 이득을 취할 목적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1) 전송자에 관한 정보
2) 전송자가 제공할 재화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
- 광고 표시 / 전송자의 연락처 표시 / 수신거부 의사표시를 쉽게 할 수 있는 조치 및 방법 표시 등 의무사항 표시
- 광고성 메시지는 야간 전송이 제한
(광고성 전송 제한 시간 : 오후 21:00 ~ 익일 오전 08:00)
[[인용:경고:보통]] 광고성 메시지의 경우 가이드를 꼭 준수해 주세요. [ 자세히 알아보기 ]
특정 오디언스 만들기(공통)
푸시 메시지는 앱이나 웹 사이트에 들어와 있지 않은 유저에게 메시지를 발송합니다.
따라서 발송하는 메시지와 관련성이 높은 특정 유저에게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때 특정 유저에게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해서 오디언스 스튜디오에서 특정 오디언스를 생성합니다.
푸시 메시지 생성하기(공통)
푸시 메시지는 ‘특정 오디언스에게 일회성 메시지를 발송하는 기능’ 입니다.
메시지를 발송하는 대상인 특정 오디언스를 만들고
각 푸시 채널(App, Web, KaKao, SMS)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설정을 완료했다면, 이제는 일회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단계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해주세요.
1. Growth Action > Push Message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우측 상단 ‘+ Create Push Message’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위자드 진입 후 각 단계에 맞는 내용을 입력합니다.
a. 타겟 및 채널 : 메시지를 보낼 대상과 발송 유형(정보성 & 광고성), 채널, 대체 메시지 등을 설정합니다.
[[인용:안내:보통]] 광고성 메시지 사용 시 주의 사항
- <광고성> 메시지 발송을 위해 '수신동의 프로퍼티' 연동이 필요합니다.
(미 연동 시 수신동의 유무와 상관없이 선택한 오디언스 그룹 모두에게 발송됩니다.)
- 채널별 연동 가이드를 확인해주세요.
Android, iOS, Web Android 연동 문서 > IOS 연동 문서 > Web 연동 문서 >
Open API 업데이트 Open API 문서 >
b. 메시지 설정 : 채널(유형)에 맞는 메시지를 구성합니다.
- 통합설정(Universal) : 선택한 모든 채널에 동일하게 적용될 값입니다. (APP/WEB 채널 한정)
- 언어설정 : 발송할 메시지를 언어별로 설정합니다.
- 재정의하기 : 통합설정에서 설정했던 메시지와 다르게 구성하고 싶을 때 재정의하기를 통해 각 채널별 메시지를 재구성합니다.
c. 액션 설정 : 메시지 터치 및 클릭 시 액션을 결정합니다.
d. 스케줄 및 부가설정 : 발송시각 및 알림 방식 등을 지정하여 테스트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인용:경고:보통]] 푸시 메시지 발송 스케쥴 설정 시 날짜 및 시간 선택은 현재 시간으로부터 최소 1시간 이후부터 가능합니다.
[[인용:경고:보통]] 광고성 메시지는 야간 광고 제한법의 영향을 받으므로, 오후 8시 30분까지 캠페인 제작 후 발송을 권장합니다.
FCM 등 서버 사정에 따라 오후 9시가 넘어가면, 메시지를 발송할 수 없습니다.
4. 메시지를 생성했다면 Growth Action > Push Message 리스트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푸시 메시지 복사해서 시작하기 (공통)
푸시 메시지 캠페인 목록에서 Growth action > Push message > ⚙️설정 > [복사해서 시작하기] 버튼 을 클릭하면,
이전에 생성한 캠페인을 복사하여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인용:안내:보통]] 카카오톡 및 sms 채널 주의사항
카카오톡 및 SMS 채널의 경우 아래의 상황에서 [복사해서 시작하기]가 불가합니다.
- 카카오 프로필: 등록한 카카오 프로필 휴면, 차단, 연결해제
- SMS: 등록한 발신번호 삭제
단, 앱에 등록한 다른 카카오 프로필 및 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복사해서 시작하기] 기능은 사용 가능합니다.
메시지 상태
생성한 푸시 메시지는 총 6개의 상태값을 가지게 됩니다.
- 발송 대기 : 생성한 푸시 메시지 설정을 아직 완료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 발송 준비 : 푸시 메시지 설정은 완료하고 스케쥴에 따라 발송 준비중인 상태입니다.
- 발송 중 : 스케쥴에 따라 발송이 진행중인 상태입니다.
- 발송 완료 : 발송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 발송 취소 : 설정이 완료된 푸시 메시지 발송을 취소한 상태입니다.
- 발송 실패 : 발송이 실패한 상태입니다.
푸시 메시지 리포트
푸시 메시지별 Dashboard 탭에서 발송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ashboard 탭은 메시지 생성 후 메시지 리스트에서 해당 메시지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송 리포트 | KPI 이벤트 리포트 |
Audience : 발송 대상으로 지정된 오디언스 수 | - |
Send : 기기(Device)를 기준으로 푸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발송 완료된 수 | Send 완료를 기준으로 KPI 이벤트가 분석됩니다. |
Open : 기기(Device)를 기준으로 발송된 푸시 메시지를 통해 앱을 실행한 수 | - |
Send(User) : 유저(User ID)를 기준으로 푸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발송 완료된 수 | - |
Open(User) : 유저(User ID)를 기준으로 푸시 메시지를 통해 앱을 실행한 수 | - |
[[인용:경고:작게]] Audience 수치와 Send 수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디바이스가 꺼져있거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푸시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
- 이용자가 푸시 수신 거부를 설정한 경우에는 푸시는 수신할 수 없습니다.
- 웹 푸시 메시지는 시크릿 모드 혹은 개인 브라우징 모드 및 게스트 브라우저 모드인 경우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
- 웹 푸시 메시지는 브라우저에서 알림 권한이 허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운영체제(Windows, MacOS 등)나 기기 설정에서 유저가 알림을 거부한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