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이해와 설정 방법
팔로우
1. Attribution 기본 개념 이해
Attribution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디파이너리 콘텐츠 모음입니다.
a. 그로스 마케터를 위한 어트리뷰션 이해 (블로그 텍스트)
디파이너리의 어트리뷰션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개념과 사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앱 환경에서 광고식별값(ADID/IDFA)의미부터, 어트리뷰션의 핵심 제공 기능, 디파이너리의 어트리뷰션 구분, 룩백윈도우, 포스트백 등과 같은 개념까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2. Attribution 설정방법 실전
Attribution 기본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 설정 방법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디파이너리 헬프센터와 블로그의 주요 텍스트, 그리고 화면과 해설이 포함된 유튜브 영상이 단계 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1/4) All-Link (Ad Landing) 설정
Ad Landing 설정은 디파이너리에서 Attribution 시작을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Ad Landing 설정을 통해 광고를 통해 이용자가 랜딩될 기본 지점을 선택합니다. 이 과정을 완료하면 하나의 트래킹 링크만으로 플랫폼(Android, iOS)에 따른 자동 분기 랜딩을 제공하는 디파이너리의 All-Link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 됩니다.
_ 설정방법 헬프센터 보기 (자세한 텍스트)
_ 설정방법 영상 보기 (유튜브, 음석과 자막 지원)
(2/4) Open Attribution Modeling 설정
Open Attribution Modeling에서는 클릭, 임프레션 같은 Ad-Touch와 App Open 사이의 규칙을 정할 수 있습니다. Ad Landing 설정을 완료 했다면, 오픈 어트리뷰션 모델링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수정해야 합니다. 오픈 어트리뷰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설정에 따라 디파이너리가 광고 성과로 인정하는 App Open의 범위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 규칙을 정하면 아래와 같은 물음에 답할 수 있습니다.
광고 클릭 후 얼마만큼의 시간 안에 앱을 설치하고 실행해야 운영 매체의 성과로 인정할 것인가? (=룩백윈도우)
> 룩백윈도우를 짧게 설정했다면, 그만큼 적은 수의 App Open이 광고 성과로 인정될 것입니다.
> 룩백윈도우를 길게 설정했다면, 그만큼 많은 수의 App Open이 광고 성과로 인정될 것입니다.
어떤 오픈 어트리뷰션 유닛에 높은 우선순위를 줄 것인가? (=우선순위 설계)
> Click-Fingerprint 유닛의 우선순위(Tier)를 2순위로 설정했다면, 1순위에 설정된 오픈 어트리뷰션 유닛에 의한 Last Ad-Touch가 없는 경우에만 Click-Fingerprint 유닛이 작동할 것입니다.
그로스 마케터를 위한 어트리뷰션 이해 (블로그 텍스트) 의 #Open Attribution Method와 #Open Attribution Modeling을 함께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_ 설정 방법 헬프센터 보기 (자세한 텍스트)
_ 설정 방법 영상 보기 (유튜브, 음석과 자막 지원)
(3/4) Ad Campaign & Tracking Link 발급
Open Attribution Modeling까지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광고 운영에 사용되는 트래킹 링크를 발급해야 합니다. 먼저 광고 목적과 성격을 구분하고 리포트, 포스트백, 프로드 룰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Ad Campaign을 생성하고(Ad Campaign은 일종의 폴더 역할을 합니다), 광고에 사용될 트래킹 링크를 발급합니다. 단,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애플서치, 네이버의 경우 설정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 b.링크를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a. Ad Campaign & Tracking Link 발급 기본
b.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애플서치, 네이버 매체 설정
c. 기본 설정 방법 영상 보기 (유튜브, 음석과 자막 지원)
(4/4) 광고 운영을 위한 포스트백 설정
업데이트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