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언스 스튜디오 활용하기 - DMP 인사이트, 타게팅메시지, 타게팅광고
팔로우
오디언스 스튜디오 활용
오디언스 스튜디오(Audience Studio)에서는 경쟁 앱과의 DMP Insight 분석 및 코호트 분석, 타게팅 광고/메시지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 DMP Insights
* 디파이너리가 제공하는 다이나믹 오디언스 템플릿
* 코호트 분석
* 타게팅 메시지
* 타게팅 광고
[오디언스 스튜디오 이해와 이용 방법 가이드 바로가기]
(1) DMP Insights
앱 단위의 오디언스 스튜디오에서는 DMP Insight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앱의 사용량, 경쟁앱의 주요 지표 비교(교차 사용현황, 신규 유입/이탈 현황 등)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인용:정보:작게]]앱의 카테고리 설정 및 경쟁 앱 설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경쟁 앱 설정 가이드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OS 기준 최소 10만 이상의 모수가 포함될 때 기능이 활성화 됩니다.
a. 내 오디언스 분석(프로파일)
b. 유입 이탈 분석
c. 경쟁 현황 분석
(2) 디파이너리에서 제공하는 다이나믹 오디언스 템플릿
디파이너리에서 제공하는 다이나믹 오디언스 템플릿을 통해 타게팅 광고 및 메시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디파이너리에서 제공되는 템플릿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인용:정보:작게]]다이나믹 오디언스는 설정된 주이게 맞춰 자동으로 갱신되는 기능입니다.
다이나믹 오디언스는 유료 기능으로, 직접 생성하기를 원하는 경우 문의해 주세요.
[디파이너리에서 제공하는 오디언스 템플릿]
이름 | Date Range | Simple Condition |
최근 30일 신규 유입 | -30day ~ 0day | Event Name = abx:new_install |
최근 30일 활성 사용자 | -30day ~ 0day | Event Name = abx:start_session |
최근 7일 방문 고객 | -7day ~ 0day | Event Name = abx:start_session |
최근 7일 구매 고객 | -7day ~ 0day | Event Name = abx:purchase |
최근 30일 내 구매를 했지만, 최근 7일동안 방문 없음 | -30day ~ 0day | Event Name = abx:purchase (30일 구매 - 7일 방문 고객) |
(3) 코호트 분석
생성한 오디언스는 Data Explorer에서 Audience Condition으로 선택하여 분석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개월간 100만 원 이상 구매'오디언스를 생성했다면, 해당 오디언스만을 대상으로 일자 별 매출, 방문횟수, 광고 유입 현황을 분석합니다.
[[인용:안내:작게]]코호트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 평균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hort Analysis : 평균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활용 예시
* 회원가입 미완료자'의 광고 유입 후 회원가입 비율 비중 분석
* 'VIP 이용자'와 '일반 이용자'의 재방문 현황 분석
(4) 타게팅 메시지
생성한 오디언스는 Growth Action의 푸시, 인앱, 시나리오에 [바로 만들기] 기능을 통해 해당 오디언스 조건으로 마케팅 활동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개월간 100만원 이상 구매'오디언스를 생성했다면, 해당 오디언스만을 대상으로 푸시, 인앱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 '회원가입 미완료자' 대상 가입 유도 타게팅 푸시 발송
* 'VIP 이용자' 대상 고가상품 유입 유도 타게팅 푸시 발송
(5) 타게팅 광고
생성한 오디언스의 ADID/IDFA를 추출하여 목적별 광고를 운영합니다.
예를들어, '1개월 간 100만원 이상 구매'오디언스를 생성했다면, 해당 오디언스의 ADID/IDFA 리스트를 다운로드 하여 타게팅 광고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인용:안내:작게]] 디파이너리의 최소 분석 기준은 Advertising ID(ADID, IDFA) 입니다.
_ 모바일 앱 환경의 최소 식별값, ADID와 IDFA 이해하기
[[인용:안내:작게]] Status가 완료(Completed)인 오디언스 그룹만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계산 중(Waiting)은 다운로드를 위한 연산 진행 상태를 의미합니다. 완료 상태로 바뀐 후에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